로그인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사용
 
아파트
토지
분양상가
근린상가
근린주택
단독주택
전원주택
원룸건물
펜션
모텔
빌라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공장
㎡ ↔ 


 
작성일 : 20-09-23 16:27
부동산필수상식. 부동산 교환계약? 장점과 단점은?
 글쓴이 : 우리114
조회 : 501  
부동산 교환계약? 장점과 단점은?

부동산 교환계약은 서로 필요한

부동산을 바꾸고 차액만큼은

현금으로 제공하는 계약방식이다.

그럼 왜 사람들은 교환계약을 할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물건의 덩치가 크거나,

쉽게 팔리지 않는 부동산인 경우

부동산 교환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한번 들어보면,

A는 토지를 매도해 다가구 건물을

매수할 계획을 갖고 있다.

B는 다가구 건물을 매도해

토지를 매수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갑자기

지금과 같은 코로나 사태가 터지며

부동산 경기가 순식간에

얼어버릴 때

거래하기란 쉽지 않다.

이때 A, B 서로가 필요에 의해서

부동산 교환계약을 하게 된다.

물론 이 외에도 금융비용,

세금 등 부담이 과중한 경우

혹은 부동산을 유지하기 여러운 경우에

교환계약을 하기도 한다.

결국 교환계약의 당사자 모두

서로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교환계약을 진행한다.

부동산 교환계약의 장점

1. 현금이 없어도 거래가 가능하다.

일반 부동산의 경우에는 현금이

반드시 필요하겠지만

부동산 교환계약은 부족한

차액에 대해서만 현금이 있으면

거래가 가능하다.

2. 효율적이다.

만약 여러 건의 부동산일 경우

한 물건씩 모두 매도 후 다시 매수하기란

여간 번거러운게 아니다.

반면, 교환계약은 여러 건의 부동산을

한번에 묶어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쉽게 거래가 가능하다.

3. 특정한 경우엔 양도소득세도

줄일 수 있다.

양도가액은 당연히

실제 거래가액으로 계약하되,

몇몇 특별히 정해진바 없는 부동산은

기준시가에 의해 거래하면서

절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동산 교환계약의 단점

1. 가치평가가 정확하지 않다.

토지가액, 권리금 등 부동산 시장에서

정확하게 평가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

잘못하면 고평가된 부동산을

매입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2. 교환거래 성사율이 낮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교환거래는 거래가 잘 되지 않는

물건을 대부분 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부동산 거래계약의

당사자가 상대방의 물건을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본인 물건은 고평가하는

경우가 있어 거래성사가 쉽지 않다.

[출처]작성자 부동산중개통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닥터부동산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성기천     경기 용인시 현암로 165,111호(지도보기) 사업자등록번호:769-17-00150    
TEL:010-4046-1872   FAX:031-896-4510   kcseong@naver.com   copyright 2012 All rights reserved
50
55
705,824
705,824